Karlota's avatar
Karlota

April 25, 2025

1
첫번째 일기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다. 그래서 제 수업을 대부분 한국어로 듣고 있지만 너무 어려워서 시간이 거의 없다. 수업을 듣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되고 수업 자료를 번역한다.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된다.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 수업을 들은 후에 카페에 가서 다른 수업의 숙제를 했다. 그리고 한국어 실력을 바르게 좋아지고 싶어서 매일 유튜브 영상을 본다. 오늘은 아이유 미니 팔레트의 박보검과 인터뷰를 봤다 . 그렇게 오늘 제 하루를 보냈다.

Corrections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그래서 제 수업을 대부분 한국어로 듣고 있지만 너무 어려워서 시간이 거의 없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수업을 듣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되고 수업 자료를 번역한다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된다하기 때문이죠.

"왜냐하면"으로 시작하면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because ~"같은 english style이에요.
그래서 "왜냐하면"이라는 말 없이, 그냥 이유를 먼저 말한 뒤에 "~해야 하기 때문이죠."라고 말하는게 더 자연스러워요.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아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려워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그리고 수업을 들은 후에 카페에 가서 다른 수업의 숙제를 했어요.

"~후에는"이라고 and 느낌의 조사 그리고 ~ 후에는"이라고 말하는게 더 자연스러워요.

그리고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그리고 한국어 실력을 바르게이 더 좋아지고 싶어서 매일 유튜브 영상을 본다봤어요.

오늘은 아이유 미니 팔레트의 박보검과 인터뷰를 봤어요.

저는 이렇게 오늘 하루를 보냈어요.

Feedback

전체적으로 한국어를 잘 활용하고 있어요. 다만, "~해요"같은 어미나 중간중간 자연스러운 표현만 수정하면 더 자연스러울 거에요.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다.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되기 때문이다.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

첫번째 일기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다.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다.

저는 외국인데 한국에서 대학원에 다니고 있고 건축을 공부하고 있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그래서 제 수업을 대부분 한국어로 듣고 있지만 너무 어려워서 시간이 거의 없다.


그래서 제 수업을 대부분 한국어로 듣고 있지만 너무 어려워서 시간이 거의 없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수업을 듣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되고 수업 자료를 번역한다.


수업을 듣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 되고 수업 자료를 번역한다해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된다.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되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매주 한국어로 책을 읽고 발제를 준비해야 된다하기 때문이죠.

"왜냐하면"으로 시작하면서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because ~"같은 english style이에요. 그래서 "왜냐하면"이라는 말 없이, 그냥 이유를 먼저 말한 뒤에 "~해야 하기 때문이죠."라고 말하는게 더 자연스러워요.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

근데 제가 발표를 할 때 너무 긴장이 돼서 스트레스를 너무 받는다아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

오늘은 수업 동안 새로운 건축 프로그램을 배우고 있는데 수업을 한국어로 듣고 있어서 항상 교수님 설명을 따라는 게 어렵다려워요.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수업을 들은 후에 카페에 가서 다른 수업의 숙제를 했다.


그리고 수업을 들은 후에 카페에 가서 다른 수업의 숙제를 했어요.

"~후에는"이라고 and 느낌의 조사 그리고 ~ 후에는"이라고 말하는게 더 자연스러워요. 그리고 "~다"라는 표현은 일기를 쓰는 느낌이에요. 다른 사람에게 내 생각을 전달 할 때는 "~요"나 "~습니다"라고 표현하는게 자연스러워요.

그리고 한국어 실력을 바르게 좋아지고 싶어서 매일 유튜브 영상을 본다.


그리고 한국어 실력을 바르게이 더 좋아지고 싶어서 매일 유튜브 영상을 본다봤어요.

오늘은 아이유 미니 팔레트의 박보검과 인터뷰를 봤다 .


오늘은 아이유 미니 팔레트의 박보검과 인터뷰를 봤어요.

그렇게 오늘 제 하루를 보냈다.


저는 이렇게 오늘 하루를 보냈어요.

You need LangCorrect Premium to access this feature.

Go Premium